(VCS) svn 사용 방법 익히기!👨🏻💻 programming/◽ 툴(tool)2022. 12. 31. 23:01
Table of Contents
728x90
SVN의 용어 정리
1. 저장소(Repository) : 모든 프로젝트의 프로그램 소스들은 이 저장소 안에 저장이 된다. 코드뿐만이 아니라 코드의 변경 사항도 모두 저장됩니다. 네트워크를 통해서 여러 사람이 접근 할 수 있다.
2. 트렁크(Truck) : 가장 중심이 되는 메인 저장소(메인 코드라인). 브랜치도 트렁크에서 부터 시작이 된다.
3. 브랜치(Branch) : 나무 가지라는 뜻으로, 트렁크에서 따로 분류에서 개발을 해야할때나 한 부분을 공동 작업을 할 때 역할 분담을 하기 위해 나눌때 사용한다. 이 나눠져 있는 나무 가지는 트렁크로 merge한다.
4. 태그(Tag, 라벨) : 꼬리표라는 뜻으로, 프로그래을 개발하면서 정기적으로 릴리즈할때 라벨링을 한다. 로그랑 다름.
Update
현재 설정된 URL에 있는 branch나 truck에 가장 최신의 버전으로 업데이트 한다.
Commit
변경된 파일들을 서버에 전송 시키는 작업.
🔸 visual studio에서 커밋 할 때 확장자 구분하기🔸
1) .vcxproj : 프로젝트 속성 값(프로젝트 우클릭 -> 설정 들어갔을 때 debug, release .. 속성 변경된 값)
2) .vcxproj.fiters : 프로젝트에서 파일을 추가하면 필터 파일이 생성된다. 솔루션 탐색기 트리 뷰에서 파일이 추가되는 위치를 정의한다.
3) .vcxprog.user : 사용자 파일이라고 부르며 디버깅 및 배포 설정과 같은 사용자별 속성이 저장이 된다.
※ 이거 잘 못 올리면 선임들한테 혼난다 .. 난 한 3번 혼남 ^^;;
TortoiseSVN
- Show log : 말 그대로 선택한 파일이나 폴더의 지금까지 커밋 리스트를 확인 할 수 있음. 리비전 정보, 작성자, 시간, 함께 커밋한 목록등을 확인할 수 있음.
- Repo-browser :
- Check for modification : 수정된 파일이나 폴더를 확인 할 수 있음.
- Revision Graph
-----------------------------------------------
- Resolve 파일이 자동으로 수정되는 것이 아니고 충돌이 났을때 수정 완료 되었다고 SVN에 알리는 기능이다. 수정완료가 되었으면 부가적으로 생성된 파일들은 제거가 된다.
- Update to revision : 특정 버전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 Rename : 파일 이름 변경한다. 벗! 실제 변경사항은 커밋시에 적용이 된다.
- Delete
- Revert : 수정된게 있다면 현재 업데이트 한 버전으로 되돌아간다. 서버와 상관없으므로 사용할 때 걱정하지 말아도 된다.
- Clean Up: 비정상적으로 SVN의 액션이 종료되었을 때 정리해 주는 명령어이다.
- Get lock
- Release lock
🔸 SVN Lock 🔸
SVN을 사용할 때 가장 두려운 부분은 공동작업을 진행할 때가 아닐 수가 없다.
너무 많은 충돌이 나면.. 해결하기 많이 난감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Lock 기능을 제대로 알고 사용 해야 한다.
- 공통 프로젝트 진행 시 작업 전에 svn update는 필수.
- lock에 걸려 있으면 cleanup 자체가 동작하지 않음.
- commit 할 때 다른 사람이 commit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
- 본인이 commit을 하기 전에 lock을 하고 수정 후 commit 후 releaselock을 해서 권한을 넘겨줌.
-----------------------------------------------
- Branch/tag : Brach는 truck에서 뻗어나온 나무가지를 뜻한다. truck 디렉토리에서 따로 빼서 개발해야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Braches 디렉토리 안에 또 다른 디렉토리를 두어 그 안에서 개발을 하게 된다. Tag는 라벨과 같은 꼬리표이다.대부분 릴리즈 할 때 날짜나 특정 코드를 적어 버전 별로 소스 코드나 자료들을 저장하는 공간이다.
- switch : 서버내의 다른 브랜치나 태그로 변경할 때 사용함.
- Merge: Trunk에서 분기된 Brach를 다시 Truck로 합치는 작업을 한다.
- Export : SVN폴더가 제외된 배포용 소스트리를 받아오는데 쓰인다. 필요시 특정 버전에 대한 코드만 가져올수 있다.
🔸 Export와 Checkout의 차이점 🔸
- Checkout: 맨 처음, 서버의 저장소에 보관된 소스를 로컬로 가져올 때 사용한다.
- Export: 체크아웃과 달리 버전관리 파일을 뺀 순수한 소스만 가져온다. 소스를 압축하여 릴리즈 할 때 사용한다.
------------------------------------------------
- Add: 프로젝트 파일이나 소스, 디렉토리를 추가한다. 반드시 svn commit을 해주어야 한다.
- Copy URL to clipboard
- Unversion and add to ignore list
------------------------------------------------
728x90
'👨🏻💻 programming > ◽ 툴(to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bg] windbg 사용하기, 덤프 분석하기 (0) | 2024.06.26 |
---|---|
(Version Control System/VCS) 버전관리 시스템 (0) | 2022.12.29 |
@핑크코냥 :: 핑크코냥
안 하는 것 보다 낫겠지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