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IBT (Interal Beta Test)
- 2.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 3. Launcher (런쳐)
- 4. OTP (One Time Password)
- 5. Mac Address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 🎞 상황극
- 6. cmd (Windows Command Processer)
- 🎞 Tip
- 7. KST (Korea Standard Time), PST(Pactific Standard Time)
- 8. UID ( User Indentification )
- 9. QA (Quality Assurance)
- 10. 마일스톤 (MileStone)
- 11. 주요 게임 장르 용어 정리
- 12. PVP( Player Versus Player ), PVE ( Player Versus Environment )
- 13. DPS (Damage Per Second), DOT (Damage Over Time)
- 14. 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 15. 어뷰징(abusion)
- 16. 게임 플레이 시 용어 ( 줄이지 않은 단어 정리)
- 17.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 18. 게임 퍼플리싱 (Game Publishing)
- 19. 버전관리시스템(VCS: Version Control System)
- 20. 레지스트리 편집기
1. IBT (Interal Beta Test)
-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사내 테스트
2.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 지리적으로 분산된 서버들을 연결한 네트워크
- 전 세계 CDN 서버의 분산 특성은 서버에서 캐시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더 가깝게 제공함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킨다.(출처: 베타 플러스)
3. Launcher (런쳐)
- 게임을 실행하는 실행파일을 말한다. exe
- 바이너리라고 칭하기도 함.
4. OTP (One Time Password)
5. Mac Address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식별자. (출처: 위키백과)
🎞 상황극
??? : 맥...?주소??? 한 번 확인해보세요.
pinko: 네 ...??? 😲그게 ... 뭐져 ?
???: ( 한숨) ..
pinko: ( TT)
이런 일이 없도록 ...
※ mac 주소 확인 방법: cmd → ipconfig / all 물리적 주소
6. cmd (Windows Command Processer)
- 명령 프롬프트
※ 실행 방법
- 검색창에 "cmd" or "명평 프로프트"
- [win] + [R]
🎞 Tip
???: IP 알려주세요.
당황하지 말고 ~ ipconfig → IPv4주소를 알려주자.
7. KST (Korea Standard Time), PST(Pactific Standard Time)
KST (Korea Standard Time) :대한민국 표준 시간
PST(Pactific Standard Time): 대한민국 표준 시간 - 16시간
8. UID ( User Indentification )
유저 아이디, 유저의 정보를 파악 할 수 있는 고유 ID( Indentification)
9. QA (Quality Assurance)
과거 pinko: QA? Question& Answer인가? (😬)
게임의 모든 테스트하고 버그를 찾아내는 일을 하시는 분(품질 관리사)을 지칭하기도 하며 그 일 자체를 이야기 하기도 함.
+ PM( Project Management )
+ PD ( Producer )
10. 마일스톤 (MileStone)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특정할 만한 건이나 표를 말한다.
11. 주요 게임 장르 용어 정리
- MMO (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 : 리니지, 로아, 뮤. ..
- MO ( Multiplayer Online) : 던파, 디아블로..
- MOBA: Multiplayer Online Battle Arena 적의 본진의 점령을 목표로 상대편 플레이어와 전투를 벌여나가는 형식의 게임
- RPG: Role Playing Game 역할수행게임
- FPS First Person Shooing 총싸움,
- TPS Third Person Shooter 3인칭 총싸움
- RTS Real Time Strategy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 Tycoon Game 경영해나가는 게임
12. PVP( Player Versus Player ), PVE ( Player Versus Environment )
13. DPS (Damage Per Second), DOT (Damage Over Time)
DPS: 초당 데미지
DOT:도트뎀, 지속적 피해
14. 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통합 개발 환경(統合開發環境,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IDE)은 코딩, 디버그, 컴파일, 배포 등 프로그램 개발에 관련된 모든 작업을 하나의 프로그램 안에서 처리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다.
15. 어뷰징(abusion)
abuse(남용하다, 오용하다, 학대, 욕설)에서 파생된 단어로 주로 온라인 게임에서 버그,핵 등의 불법 프로그램, 타인 계정 도용, 다중 계정 접속등을 통해 부당한 이득을 챙기는 행위를 말한다.
16. 게임 플레이 시 용어 ( 줄이지 않은 단어 정리)
- HP (Hit Point) : 체력을 지칭하는 용어
- MP(Magic Point) : 마력을 지칭하는 용어
- EXP(Experience Point): 경험치을 지칭하는 용어
- NPC(None Player Character): 플레이어가 직접 조종할 수 없는 캐릭터
17.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서비스 중단을 목적으로 표적서버, 서비스 또는 네트워크에 인터넷 트래픽을 대량으로 보내려고 시도하는 악의적인 사이버 공격의 형태
18. 게임 퍼플리싱 (Game Publishing)
게임을 배급하는 회사. 게임 개발사의 게임을 받아서 유통하는 회사다.
ex ) 중국 게임 배급
게임명: 메이플스토리2 / 퍼블리셔: Tencent / 개발사: Nexon
게임명: 던전앤파이터 / 퍼플리셔: Tencent / 개발사: Neople
19. 버전관리시스템(VCS: Version Control System)
로컬 VCS
중앙집중식 VCS : Perforce, CVS, Svn,
- 단일 서버를 가짐.
- 서버에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접속하여 버전 관리를 필요로 하는 모든 파일들을 서버에서 체크아웃하는 형식으로 동작.
- 커다란 바이너리 파일을 관리하는데 장점이 있다.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Git
- 저장소 전체를 클라이언트에 다운로드
- 네트워크 없어도 버전 관리시스템 사용가능
20. 레지스트리 편집기
windows의 각종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이다.
사용법은 다음에 알아보자...
업데이트 테스트 할 때 종종 사용했음.
※ 실행 방법
- 검색창에 "레지스트리 편집기"
- [win] + [R] → regedit

'🙋🏻♀️ pinko > ◽ 게임회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 동영상 포트폴리오 (4) | 2022.12.13 |
---|---|
1분 자기소개 (실제로 면접 때 했던...) (5) | 2021.02.22 |
실무 면접 대비 3번째 운영체제, 그래픽스 기초 (게임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 기준) (1) | 2021.02.22 |
실무 면접 대비 2번째 알고리즘, STL, 자료구조 (게임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 기준) (0) | 2021.02.22 |
실무 면접 대비 1번째 C / C++ (게임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 기준) (4) | 2021.02.22 |
안 하는 것 보다 낫겠지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